입덧을 하게되면 입덧에좋은음식을 찾게 되죠. 하지만
입덧에좋은음식을 찾기보다 안좋은 음식과 나쁜 습관을
먼저 고치는게 순서 같습니다.
1. 향이 강하지 않은 음식을 선택하세요.
입덧끝나는시기는 초기에 사라지기도 하지만 임신 말기
까지 이어지 는 경우도 있습니다. 입덧을 할 때는 향이
강한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입덧은 호르몬의 작용으로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
마다 기간도 그 강도도 다릅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후각을 자극하는 음식에는 임산부들이 하나같이 구역질
을 합니다.
향이 강한 음식으로, 신 김치(묵은지), 카레라이스, 고등
어구이, 갈치구이, 순대국, 김치만두, 멸치액젓(까나리도
그렇겠죠?)이 들어간 겉절이, 청국장, 취나물무침 등이
있습니다.
물론 임산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김치와 된장
냄새를 가장 싫어 한다고 합니다.
2. 차갑거나 매운 음식은 가급적 피하세요.
드라마에서 보면 임산부들은 모두 새콤한 음식을 좋아
하는 것 같은데, 모든 임산부들이 새콤한 음식을 좋아하
는것은 아닙니다. 어떤 분들은 속이 메스꺼울 때 자주
찾는 음식이 차가운 아이스크림이나 매운 음식이라고
합니다.
차갑거나 매운 음식은 일시적으로는 속을 진정시키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임신 기간내 식생활을 흐트러뜨릴 수
도 있다고 합니다. 속을 달래기 위해 가끔은 먹어도
되지만 지나치게 섭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3. 공복은 금물, 입덧을 더 자극시켜요.
공복이 되면 위에 특수한 호르몬이 생겨 위가 쓰리고
토할 것 같고 메스꺼워 위장병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
다고 합니다. 보통 사람도 굶었을 때 더 속이 아프고
메스꺼운데, 임산부는 평소보다 더 심하게 메스꺼움을
느끼게 됩니다. 아침식사를 꼭 챙기는 습관을 들이세요.
아침밥을 챙겨 먹지 못할 때는 비스켓이나 과일을 조금
먹어주면 공복을 잠시 달래는 효과가 있답니다.
4. 음식을 자주, 조금씩 드세요.
임신 기간 동안에는 소화가 잘 안 되고 더부룩하기 때문
에 음식을 조금씩 먹는 것이 좋습니다. 입에 잘 맞는 음
식이 있으면 임산부들은 이때가 기회다 싶어 과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과식은 오히려 입덧을 심하게 할 수
있습니다.
과식으로 인한 구역질은 시간이 지나도 잘 가시지 않고
산모를 지치게 만듭니다.
입에 맞는 음식이 있더라도 조금씩 자주 먹는 습관이
입덧을완화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5. 물에 밥을 말아 먹는 것은 아주 나빠요.
입덧 할 때 물에 밥을 말아 먹는 임산부들이 많은데, 귀
찮다고 반찬 한 가지에 물 말은 밥을 먹으면 소화도 잘
안 되고 영양 면에서 태아에게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물에 말아 먹는 습관은 꼭 고쳐야 합니다.
6. 태아 때 건강이 평생을 좌우하므로 편식은 금물
이에요.
입덧이 시작되면 대부분의 임산부가 편식을 합니다.
좋아하는 것만 먹고 자극적인 것, 신 것, 차가운 것 등
먹는 음식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태아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건강하고 똑똑한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임신 초기부터
영양가 있는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 이 중요합니다.
[출처 : 임산부 밥상 차리기 / 김명희 저]
'음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모에 좋은음식 (0) | 2017.04.04 |
---|---|
마른오징어 부드럽게 먹는법 (0) | 2017.03.28 |